테디 베어의 탄생

2019. 4. 18. 12:55세계사

1. 영어로 남편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husband. 이 말을 음절로 나눠보면 hus는 집을 가리키고 band는 고대 노르웨이어로 주인이라는 의미다. husband의 어원적 의미는 집주인인 것이다. 집이라는 의미의 hus1066년 노르만족이 잉글랜드를 정복한 이후에 프랑스식 철자로 바뀌면서 house가 되었다. 프랑스어에서는 uou로 표기했기 때문이다. 영어라는 고유어의 단어가 외국어인 프랑스어에 의해 철자까지 바뀐 것이다. 1066년 잉글랜드 남부 헤이스팅스에서 벌어진 노르망디 공 윌리엄의 노르만족 군대와 잉글랜드 군대의 싸움(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군인들은 도끼를 들고 노르만 기사들과 맞선다. 도끼를 든 잉글랜드 보병들은 huscarl이라고 불렸는데, 역시 집이라는 의미의 hus와 장정이라는 뜻을 가진 carl의 합성어다. 집안의 장정이라는 뜻이다. 게르만 계열 남자들의 이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Karl, 프랑스 남자들 이름에서 볼 수 있는 Charles이 바로 carl에서 나왔다. 남자라는 의미를 부여해주는 이름이다. husband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 남자이름으로 흔히 쓰이는 Henry(헨리or앙리)는 독일어 Heinrich에서 왔다. 독일어로 집을 뜻하는 heim(영어의 home)과 왕을 뜻하는 rich의 합성어. 영어로 부유하다는 의미의 rich가 이 말에서 나왔다. Henryhusband처럼 집안의 왕, 가장이라는 뜻. 헤이스팅스에서 승리를 거둔 윌리엄은 그해 크리스마스에 잉글랜드의 왕위에 오른다. 앵글로색슨 왕조가 종말을 고하고 프랑스 계통의 노르만 왕조가 들어선 것이다. 이후 잉글랜드의 왕들은 Henry, Richard와 같은 프랑스식 이름을 사용한다. 그러다가 Edward 1세에 와서 다시 영어식 이름이 등장한다. 고대 영어에서 ed혹은 번영을 의미하고 ward는 현대 영어의 warden처럼 관리인’ ‘수호자를 의미한다. 그런데 사실 에드워드 1세의 가계도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는 프랑스 계열이다. 에드워드 1세는 왜 영어식 이름을 고집했던 것일까? 브리튼섬의 주인인 앵글로색슨족과 하나가 되고 싶었기 때문. 자신은 프랑스 계통이지만, 왕국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앵글로색슨족에게도 왕이 되고 싶었던 것이다. (하루 3분 세계사, 김동섭, 시공사, 2017)

 

2. 스페인어 SantaSan은 영어의 Saint와 의미가 같으며 특별한 수준의 성스러움이나 덕을 가진 성인을 의미한다. 이는 기독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종교인들에게 특별한 성스러운 존재다. San FranciscoSan DiegoSan은 바로 Saint의 의미다. 칠레의 수도 Santiago도 그 뿌리가 같다. Santa ClausSaint Nicholas의 준말로 성인 니콜라스를 이르는 말이다. 미라Myra 지방의 주교였던 세인트 니콜라스(270~343)는 어린이들을 좋아했으며, 매년 12월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나누어주었다. 이러한 정신은 십자군전쟁을 통해 유럽 전역으로 퍼졌으며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이주한 네덜란드인들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나누어주는 문화가 미국에 정착되면서 전 세계에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해마다 12월이면 산타클로스의 고향핀란드의 로바니에미마을 전체가 분주하다. 산타 할아버지에게 온 편지와 카드가 산더미처럼 쌓인다. 산타 마을의 중심지에 자리 잡은 산타 우체국에 모인 지역 주민들은 전 세계 어린이들이 보내온 편지와 카드에 일일이 답장을 써서 산타의 이름으로 우편을 발송한다. 1927년 핀란드의 어린이 프로그램 진행자가 핀란드의 로바니에미 마을에 있는 코르바툰투리 산에 산타가 산다고 말한 것이 그 시작이었는데 단지 순록이 많이 사는 지역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고 한다. 당시 미국의 영부인 엘리너 루스벨트는 산타클로스를 꼭 만나고 싶다고 핀란드 정부에 전달했다. 1950년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부인인 엘리너 루스벨트 여사가 로바니에미를 방문했다. 이를 기념하여 세운 작은 통나무집과 산타마을이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해마다 12월이면 산타의 주소를 묻는 아이들에게 답변이 궁색했던 부모들은 이곳의 주소를 알려주었다. 이 마을은 1985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조성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산타마을로 자리 잡았다. (단어따라 어원따라 세계문화산책, 이재명 외, 미래의 창, 2016)

 

3. 재킷은 앞이 터지고 소매가 달린 짧은 겉옷을 말한다. 흔히 자켓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외래어 표기법이다. 가장 좋은 표기법은 우리말인 웃옷. 그런데 이 재킷의 유래가 재미있다. 재킷은 왕족 혹은 귀족이 입던 옷이 아니다. 평범한 농부들이 입었던 옷이다. 재킷의 어원은 사람 이름이다. 바로 프랑스에서 매우 흔한 남자 이름 자크Jacque. 이 이름은 14세기에 프랑스 농부 전체를 가리킨 일종의 속명이기도 했다. 이 자크로부터 긴 웃옷을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자크jaque, 그리고 시간이 더 흘러 자켓jaquet이 나왔다. 이 자켓이 15세기 중엽에 영어로 들어가 오늘날의 재킷이 되었다. 그렇다면 왜 이 옷을 자크라고 불렀을까? 당시 프랑스 농부의 이름 중 자크가 흔한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자크가 입는 옷’, 즉 당대 농부들이 입는 옷이라는 의미였다. 요컨대 오늘날 우리가 입고 있는 웃옷의 원형은 중세 프랑스 농부들이 일할 때 입는 옷이었던 것이다. 이 이름을 딴 농민 폭동도 있었다. 바로 북프랑스에서 일어난 자크리의 난이다. 이 폭동은 백년전쟁 중 일어난 푸아티에 전투 때문에 발생했다. 당시에는 전염병, 기근, 오랜 기간 이어지는 전쟁으로 농민들의 생활이 궁핍해지고 봉건제에 대한 반감이 거세지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푸아티에 전투로 영국군에게 패한 프랑스 군인들이 유랑민이나 도둑이 되어 자국의 농민을 괴롭혔다. 그래서 1358528일에 프랑스 북부 보베에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폭동은 순식간에 노르망디, 피카르디, 샹파뉴 등 다른 지방으로까지 확산되었다. 그러나 다른 도시들과 협력하지 못하고 내분마저 일어나 실패로 돌아갔다. 한편 자크라는 이름이 프랑스에만 흔한 건 아니었다. 프랑스어 자크에 해당하는 영어는 잭Jack인데, 이 이름 역시 영국에서는 가장 흔한 이름이었다. 당시 영국에서 잘 모르는 사람을 부를 때 “Hey, Jack.”이라고 할 정도였으니까. 그것이 옆집 농부든 처음 보는 선원이든 상관없이 말이다. 영국에서 잭이라는 이름을 이렇게 널리 사용하게 된 이유는 잭이 단음절이어서 부르거나 기억하기 쉬웠기 때문인 것 같다. 그래서 잭은 엔진, 악기의 일부분, 수컷 새 등의 이름에도 사용되었다. 잭 나이프도 마찬가지이다. 칼날을 접어 칼집에 넣을 수 있게 만든 휴대용 주머니칼인 잭나이프는 다른 칼과 달리 누구나안전하고 쉽게 휴대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나이프 앞에다 잭을 붙인 것이다. 마치 전라도 사투리 거시기처럼 말이다.

 

4. 초기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탄생일을 축하하는 행사가 없었다. 사실 예수가 태어난 날은 정확하지 않다. 교회가 1225일을 성탄절로 정한 것은 이교도의 축제인 농신제를 방해하기 위해서였다. 농신제는 농신 새턴을 추모하기 위해 율리우스력 1217일부터 대개 1227일까지 열린 고대 로마의 축제였다. 그 기간 동안 사람들은 새턴의 신전에 제물을 바치고 술을 마시며 도박을 즐기고 문란하게 지냈다. 기독교는 이런 축제를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그래서 345년에 예수의 탄생일을 1225일로 정해 농신제를 막아보려 했던 것이다.

 

5. 레지스탕스는 넓은 뜻으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어난 유럽 파시즘에 대한 저항', 좁은 뜻으로 프랑스 사람들의 독일군과 비시 정권(프랑스 남부에 설립된 친독 정권, 수도가 비시였다.)에 대한 저항 운동을 가리킨다. 본래 레지스탕스는 조국을 해방시키기위한 목적이었으나, 서서히 인간의 자유와 존엄을 지키려는 투쟁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프랑스의 레지스탕스는 수많은 프랑스인들이 참여했으며, 종교나 정치적 성향과 관계없이 독일 점령군에 대항하고, 19446월 파리 해방부터 노르망디 상륙작전에까지 큰 기여를 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레지스탕스는 '저항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레지스테레resistere에서 온 말이다. 이 동사에서 나온 명사 레시스텐티아resistentia는 고대 프랑스어 레지스탕스resistance를 거쳐 14세기 중엽 똑같은 형태로 영어로 들어갔다. 여기에 현대 프랑스어의 악센트까지 더해져서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이 단어가 '점령하거나 지배하는 권력에 맞서 비밀리에 조직된 저항'이라는 의미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39년부터.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레지스탕스가 곳곳에서 만들어지던 시기다. 그런데 우리가 아는 것과 달리 대중적인 레지스탕스는 늦게 형성되었다. 초기 프랑스의 레지스탕스는 소수에 의한 산발적인 저항운동이었다. 독일 도르트문트 대학 발터 크레머 교수에 따르면, 이 저항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프랑스 인구 10001에 해당하는 5만 명 정도라고. 또한 독일군이 프랑스를 점령하던 초기에는 프랑스인들의 경제활동이 여전히 활발하고 자유를 크게 억압당하지 않았다. 영화나 연극 관람도 비교적 자유로웠다. 그래서 혹자는 "유럽에서 독일군에 점령된 나라들 가운데 프랑스만큼 기꺼운 마음으로 나치에게 많은 도움을 받은 나라는 또 없을 정도였다."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독일군의 횡포가 점점 심해지자 독일군과 소련의 개전을 계기로 군사시설 파괴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레지스탕스의 움직임이 활발해진다. 무엇보다 샤를 드골이 레지스탕스 운동을 결집시킨 '전국저항평의회' 덕분에 레지스탕스는 국민적인 운동으로 부상한다. 이로 인해 누군가는 시기상조라고 했던 '파리 해방'이 내부의 도움으로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었다. (단어로 읽는 5분 세계사, 장한업, 글담, 2017)

6. 테디 베어의 탄생: 190226대 대통령 시어도어Theodore(테디) 루스벨트는 미시시피 주를 방문했다. 방문 목적은 미시시피 주가 이웃 루이지애나 주와 경계선 문제로 분쟁 중이었는데, 이를 중재하기 위해서였다. 사냥을 좋아했던 테디는 바쁜 공식 일정 중에도 곰 사냥을 갔다. 이때 루스벨트가 나중에 최고의 곰사냥꾼이라고 격찬했던 홀트 콜리어가 곰을 몰아줬는데, 그는 평생 곰을 3000마리 넘게 사냥한 전문가였다. 어쨌든 미시시피 주 정부에서는 대통령이 사냥하기 좋게 새끼 곰을 산 채로 잡아 나무에 매어 두고 대통령에게 총을 쏘아 잡도록 권했다. 대통령의 사냥 실력을 과시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었으리라. 그런데 대통령은 불쌍한 새끼곰을 쏘는 것을 거부했다. 바로 이 장면을 포착한 '워싱턴 스타'의 시사만화가 클리포드 베리먼이 루스벨트와 새끼 곰을 그린 그림을 '선을 긋다'라는 문구와 함께 신문에 실었다. 이 만평은 곰 사냥에도 일정한 선이 있음을 표현한 동시에 당시 미시시피 주와 루이지애나 주의 경계선 분쟁을 중재했던 대통령의 모습을 함축적으로 나타낸 것. 원래 만평의 의도는 상업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이 만평을 재발견한 사람이 있었는데, 바로 브루클린에서 장난감 가게를 운영하던 모리스 미첨이었다. 마침 모리스 미첨과 그의 아내는 팔다리가 움직이고 눈을 깜빡거리는 곰인형을 만들었다. 그들은 이 인형을 문제의 그 만평 그림과 함께 진열하며 '테디의 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랬더니 곰인형이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그는 '테디'라는 이름을 자신의 곰인형에 붙여 사용하게 해달라고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냈다. 루스벨트는 모리스의 제안을 승낙했을 뿐만 아니라 자기 이름이 장난감 업계에 누가 되지나 않을지 모르겠다는 염려까지 담은 자필 답장을 보냈다. 이렇게 탄생한 테디 베어는 당시 미국인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와 더불어 '루스벨트와 함께 사냥을'이라는 이름의 보드게임 같은 상품도 인기를 끌었다. 당시 한 신문에는 돈 있는 사람들은 자동차의 사이드램프에 키가 90cm나 되는 테디 베어를 붙이고 다닌다.”라는 기사도 실렸다. 1906년부터 1908년까지 3년간 미국에서 테디 베어 열풍은 대단해서 인형뿐만 아니라 저금통, 가방, 서류상자, , 카드, 재갈과 가죽끈, 우편엽서, 물총, , 풍선 등 온갖 상품에 테디와 곰, 그리고 이 이름이 사용되었다. 그러자 루스벨트 대통령은 공식적인 연설에서도 즐겨 테디 베어 유행을 언급했다고 한다. 곰돌이 인형의 귀여운 이미지와 함께 자신의 이미지도 덩달아 좋은 모습으로 전파되므로 당연히 좋아했을 것이다. (카트에 담긴 역사 이야기, 김대갑, 노느매기, 2016)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명화속 역사 읽기  (0) 2020.01.15
나폴레옹 콤플렉스는 과학?  (0) 2019.04.18
루스벨트  (0) 2019.04.18
리키 가문  (0) 2019.04.18
민족주의 음악  (0) 2019.04.18